주택 연금 제도란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주택을 한국주택금융공사에 담보로 제공한 뒤, 매달 고정적인 금액을 연금 형태로 지급받을 수 있는 금융상품으로 국가가 보증하는 연금제도입니다.
우리나라 노년층의 상황은 노후 준비가 부족하고 대부분의 자산은 부동산에 몰려있어서 현재 고령층의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택연금 가입자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주택연금은 내 집에 거주하면서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으로 가입연령 및 주택가격에 따라 다르게 적용을 합니다.
주택금융공사는 오는 3월 1일 이후 주택연금 신규 신청자가 받는 월 지급금이 기존보다 평균 1.8% 감소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번 지급금이 줄어든 것은 전년 대비 예상 주택가격상승률은 낮아졌지만 이자율은 높아지고 기대여명은 늘어났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아래는 주택 가격에 따라 주택연금 연령대별, 주택 가격(시세) 월지급금 예시입니다.
⁕ 주택연금 지급받는 방식에는 4가지가 있으며 신청자들중 가장 선호하는 방식은 '종신방식'을 택했다고 합니다. 종신방식은 평생 동안 매달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방식입니다.
주택연금 제도의 장 단점을 알아봤습니다.
주택연금 장점
1. 평생동안 가입자 및 배우자 모두에게 거주를 보장합니다.
2. 부부중 한 분이 돌아가신 경우에도 연금 감액 없이 100% 동일금액 지급을 보장합니다.
3. 부부 모두 사망후 주택을 처분해서 정산하면 되고 연금 수령액등이 집값을 초과하여도 상속인에게 청구하지 않으며, 집값이 남게 되면 상속인에게 돌아갑니다.
4. 국가가 주택연금 지급을 보장합니다.
5. 세제혜택이 있습니다.
주택연금 단점
1. 가입 조건이 까다롭고 주택을 많이 소유한 사람들은 주택연금에 가입할 수 없으며, 부부 기준으로 보유 주택 중 1 주택만 주택연금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2. 주택연금 월 지급액이 고정형 이기 때문에 집값이 얼마가 올라도 지급받는 연금은 같은 금액입니다.
3. 국민연금과 다르게 주택연금은 물가상승 반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받는 연금의 가치는 떨어지게 됩니다.
4. 주택연금 가입비와 연간 보증료가 있습니다.
5. 주택연금 중도해지시 손해가 발생합니다. 재산세나 주택과 관련된 세금을 연체하게 된다면 주택연금이 해지될 수도 있습니다. 주택연금이 해지됐을 경우 그동안 받았던 연금과 연간 보증료, 대출이자까지 모두 갚아야 합니다.
이상으로 주택연금 장 단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노후에도 수익을 벌 수 있거나 노후 자산이 어느 정도 있으신 분들은 다른 상품을 찾아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습니다.
'생활 및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혈압에 좋은 음식 추천 5가지 (0) | 2023.02.06 |
---|---|
우리 집 가전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확인 / 지원 / 대상 (0) | 2023.02.03 |
뇌경색, 뇌출혈 예방 / 전조증상 / 초기증상 (0) | 2023.01.30 |
겨울철 난방비 절약 / 지역 난방 / 개별 난방 /중앙 난방 차이점 (0) | 2023.01.29 |
난방비 아끼는 꿀팁 / 난방방식 / 절약 방법 (0) | 2023.01.28 |